본문 바로가기

지식

제주도 환경 화산섬인 제주도는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습지가 형성되기 어려운 환경을 가지고 있다. 습지는 일 년의 일정기간동안 물에 잠겨 있거나 젖어 있는 지역을 의미하는데 제주는 돌에 구멍이 난 현무암 지대로 이루어져 있기에 습지가 조성되기 힘들다. 이 때문에 제주에서의 습지는 색다른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제주도에는 우리나라의 21개 람샤르 습지중 5개가 분포하고 있을정도로 우리나라 최대의 습지지역이다. 이러한 가운데 제주도의 생태관광 자원자원으로써 습지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이 되고 있다. 올해 5월에 새롭게 람샤르 습지로 지정된 숨은물 뱅듸 습지는 우리나라 최대의 고산습지이다. 다양한 동식물들에게 풍부한 먹이와 서식지를 제공하는 습지는 풍부한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더보기
1100고지 습지 람사르 습지로서 최고의 지역 1100고지 습지 제주의 습지중에서 가장 가치가 있는 습지는 1100고지 습지이다. 제주 물뱅듸의 위쪽에 있는 1100고지에는 희귀식물인 지리산오갈피와 한라물부추가 많이 자생을 하고 있다. 1100고지습지는 2009년 10월에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는데 현무암이 많은 한라산의 지질적 특성을 고려할 때 매우 특이하고 희귀한 습지이다. 물의 양이 많지는 않으나 물을 함유하고 머금는 기간이 길어 주변 야생 동식물들에게 풍부한 물을 공급하고 있다. 1100고지의 경우 나무들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숲 형태를 이루게 되었는데 이것이 습지의 육지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습지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 가운데 육지화 과정이 함께 진행 중인 곳이 1100고지 습지이다. 1100고지는 람사르 .. 더보기
숨은물뱅듸 현재 제주에는 동백동산 습지, 숨은물뱅듸와 함께 물영아리, 물장오리, 1100고지 등 5곳이 람사르습지로 지정돼 있다 동백동산 습지에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라 불릴 만큼 중국물부추, 제주고사리삼 등 특이식물들과 말똥가리, 팔색조 등 멸종위기종을 포함해 총 271종의 동ㆍ식물이 서식 중이다. 이름처럼 많은 동백나무는 하늘을 찌르듯 쭉쭉 뻗어 숲을 이루고 있었는데 햇볕이 잘 들지 않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멸종위기 종으로 7그루가 전부인 개가시나무는 필요없는 껍질을 우두둑 떨어트린다 해서 마을 주민들은 ‘똥 누는 나무’라 불렀다. 숨은물뱅듸는 야생 생물의 보고이다. 습지는 야생 생물들에게 먹이를 제공하기 때문에 생물종의 보전과 유지라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한라산 1100고지를 올라가.. 더보기
영주... 선비정신의 발생지 선비정신은 성리학에서 시작됐고, 성리학은 영주 사람인 '회헌 안향' 선생이 발전시켰기 때문에 영주가 선비정신의 발생지라고 할 수 있다. 선비정신의 고장으로 이름난 영주시에는 한국 최초의 본격적 서원이자 사액서원(임금이 이름을 지어서 새긴 편액을 내린 서원)인 '소수서원'이 있다. 소수서원은 주자학(조선의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 선생을 모신 곳이다. 성리학은 조선조 성립의 배경학문으로 발전하고 도(道)와 이(理)의 이념 정립을 통한 유교의 발전을 가져오고 선비정신의 초석이 된 학문이다. 2015 영주한국선비문화축제는 선비의 고장 영주에서 사라져 가는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고, 선비의 멋과 풍류를 느끼고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열린다. 올해 7회째를 맞이하는 선비문화축제에는 옛 선비정신을.. 더보기
고려의 지방 고려는 현종때에 지방제도의 골격을 갖추었지만 완전한 중앙집권은 이루지를 못하였는데 지방의 모든곳에 지방관을 파견하지 못하였다. 중앙에서 지방관을 파견한 지역을 주현이라고 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지 않은 지역은 속현이라고 하였는데 지방관을 파견한 주현보다는 지방관을 파견하지 않은 속현의 숫자가 훨씬더 많았다. 속현의 실질적인 통치는 지방의 호족이나 향리들이 맡으며서 지방세력의 힘이 매우 강하였다고 할수가 있는데 11세기경에는 주현이 46개였는데 비하여 속현의 숫자는 361개에 이를정도로 많았다. 더보기
생태관광 생태관광은 자연의 경관과 함께하는 관광이다. 열대지역에서 생태관광이 많이 이루어지는데 아마존상 상류에 위치한 에콰도르에서는 생태관광이 매우 발달해 있다. 또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에서도 생태관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태관강은 에코투어리즘으로 표현이 되는데 현대인들에게 자연과 함께하는 시간을 갖게하는 관광이라고 할수가 있다. 우리나라도 11개 곳이 생태관광지로 지정이 되어있는데 대표적인 생태관광지는 경상남도 창원의 우포늪과 전라남도 순천만의 갯벌지역을 들수가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