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조선왕조의궤 의궤는 조선왕조에서 유교적 원리에 입각한 국가 의례를 중심으로 국가의 중요 행사를 행사 진행 시점에서 당시 사용된 문서를 정해진 격식에 의해 정리하여 작성한 기록물이다. 같은 유교문화군에 속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에서는 의궤의 체계적인 편찬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의궤 조선시대 600여년에 걸쳐 (1392-1910) 왕실의 주요 행사, 즉 결혼식, 장례식, 연회, 사신영접 등 뿐 아니라, 건축물·왕릉의 조성과 왕실문화활동 등에 대한 기록이 그림으로 남아져 있어 600여년의 생활상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총 3,895 여권의 방대한 분량에 이르는 의궤는 왕실의 주요한 의식이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되어 있어서, 조선왕조 의식의 변화 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 더보기
승정원 일기 더보기
유교책판의 특징 유교책판은 단순한 인쇄매체의 기능을 넘어 선현의 학문을 상징하는 존재로 인식되어 후학들에 의해 보관 전승된 것이다. 유교책판은 모두 에 의해 제작되었다. 지역사회의 지식인 집단의 여론을 공론이라 하는데, 당대의 지식인 계층이 공론을 주도하였다. 공론에 어긋나는 내용이 담긴 책판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인출에서는 제한되었다. 인출이 제한된 책판은 없애지 않고 그대로 남겨 후대의 판단으로 다시 출간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는 한국의 기록문화가 가진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 유교책판은 의 형태로 책이 출간되었다. 공론의 주도자들은 지역사회에서 문중-학맥-서원-지역사회로 연계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들의 주도로 유교책판의 판각 계획부터 판각할 내용의 선정, 판각의 완성, 책의 인출, 배포까지 모든 과정을 .. 더보기
승정원일기 「승정원」은 조선 정종대에 창설된 기관으로서 국가의 모든 기밀을 취급하던 국왕의 비서실이라 할 수 있는 곳으로, 1623년(인조1) 3월부터 1894년(고종31) 6월까지 272년간 승정원에서 처리한 국정 기록과 승선원, 궁내부, 비서감, 규장각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1910년(융희 4)까지 총 3,243책의 기록이 남아 있다. 국보 제303호 원본 1부밖에 없는 자료 2001년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 등재 「승정원일기」는 조선왕조 최대의 기밀 기록인 동시에 사료적 가치에 있어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비변사등록과 같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자랑할 만한 자료이며, 또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기본 자료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실록보다 오히려 가치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승.. 더보기
유교책판 유교책판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저작물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으로, 305개 문중·서원 등에서 기탁한 718종 64,226장이다. 유교책판 저자의 직계 후손들이 길게는 550년, 짧게는 60년 이상을 보존해 온 기록물로, 모두가 출처가 분명한 진본이다. 550 years is a direct descendant of the authors hold, Short documentary on year to conserve more than 60 years, Everyone is clear is authentic sources 현재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보존, 관리하고 있다. 유교책판은 선학과 후학이 책을 통하여 서로 소통하는 'Text Communication'의 원형으로, 국가주도로 제작되었다. 수록 내용도.. 더보기
동문선 동문선의 편찬 1478년(성종 9)에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우리나라 역대 시문선집이다. 우리 국문학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국문학적 의의가 매우 크다 동문선 신라의 김인문ㆍ설총ㆍ최치원을 비롯하여 편찬 당시의 인물까지 약 500명에 달하는 작가의 작품 4,302편이 수록됨 서거정 서거정은 동문선에서 우리나라의 시문이 삼국 시대에 시작되어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가장 발달하였다고 보고, 우리 시문이 중국의 것과는 다른 것을 강조하였다. 동문선에서 우리의 글을 집대성하여 후세에 길이 전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동문선”은 삼국 시대 이래 조선 초까지의 우리나라의 문학 자료를 나름대로 집대성하였으며, 우리의 문학 전통을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더보기
초창기 현대음악 1950년대는 우리나라 전 예술계에서‘현대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기 이기도 하다. 이전의 현대 음악에 대한 논의가 주로 현대 음악 수용을 반대하는 입장이 대부분이었다. 그는‘선 토착화 후 현대화’라는 신념으로 한국적인 작품 개척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12음 기법 등의 도입과 민속 음악을 바탕으로 한 독창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론 정립과 창작을 병행하였다. 현대 음악 기법 수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진 인물--- 나운영 1952년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를 작곡한 이후 기독교 찬송가를 1,105곡 작곡하였으며, 1955년‘바이올린을 위한 산조’에서 한국적 표현을 구체화하였다.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오페라 공연은 지속되었다. 1950년대---- 현대 음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입장과 현대 음.. 더보기
한국 전통 산사 '한국의 전통산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2011년 4월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세계유산 등재 추진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시작했디. 후보 사찰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2012년 여름에 7개 사찰을 정하였고 2013년 12월에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하였다. 더보기
세계문화 유산 등재 추진-- 사찰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충남 공주 태화산 마곡사,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 전남 해남 두륜산 대흥사, 경북 안동 천등산 봉정사, 경북 영주 봉황산 부석사, 경남 양산 영축산 통도사 등이 세계문화 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봉정사, 부석사, 통도사 등 7개 사찰은 모두 삼국시대에 창건했다. 가람배치는 사찰건물의 배치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산지가람은 산세, 배경이 되는 봉우리와 지형적 특징을 활용해 불교교리를 건물배치와 외부공간으로 표현한다. 불교사찰은 한국의 전통적인 산악신앙이 불교와 결합하며 명산에 절을 짓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8∼9세기경 도입한 선종의 영향으로 산중에 사찰을 많이 지으면서 산지 지형에 맞는 특징적인 가람배치가 나오기 시작했다. 10세기를 전후해선 .. 더보기
운문사 강원 1958년 운문사 강원은 사미과, 사집과, 사교과, 대교과 4단계로 나누어 이수 연한 10∼11년으로 하는 전통 강원의 체제를 따라 설립되었다. 운문사 강원의 최초의 비구니 강주는 승려 묘전이 주지[1962∼1966]일 때 부임한 승려 묘엄이었다. 1982년 비구니 강사 회의에서 강원의 명칭을 ‘승가 학원’으로 통일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운문사 강원을 운문사 승가 학원으로 개칭하였다. 1985년 수업 연한을 4년으로 결정하고 사미니과[1학년], 사집과[2학년], 사교과[3학년], 대교과[4학년]으로 구분하였고, 1987년 승가 학원의 명칭을 승가 대학으로 고쳐 ‘운문 승가 대학’으로 개칭하였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