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학십도”는 1568년 68세의 퇴계 이황이 17세의 어린 임금 선조에게 성리학의 기본 이념을 열 개의 그림으로 정리하여 올린 책이다. 위의 자료는 그 중 세 번째인 ‘소학도’의 일부 내용이다. 열개의 그림은 1. 태극도(우주의 원리 이해), 2. 서명도(천지 만물과 일체), 3. 소학도(일상에 충실), 4. 대학도(수신), 5. 백록동규도(인간이 되는 학문), 6. 심통성정도(옳은 마음가짐), 7. 인설도(본체로 삼아야 할 인), 8. 심학도(잃어버린 본심 찾기), 9. 경재잠도(경의 세부 항목 찾기), 10. 숙흥야매잠도(깊은 밤 학문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5도까지는 우주의 원리와 만물의 근원에 대해 설명하고, 제6도에서 10도까지는 수양과 실천에 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전개한다
예학이란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규범의 본질적인 문제와 실천 조목,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는 사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예학은 조선 시대에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를 유지하고 안정시키는 과정에서 성립되었다. 삼강오륜을 기본 덕목으로 강조하고 있는 예학은 조선 사회에서 주로 양반 사대부의 신분적 우월성을 강조하는 데 이용되었고, 한때 사림들 사이에서 예송 논쟁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예학이 조선 시대에 크게 발달하게 된 것은 통치 이념인 성리학이 법에 의한 통치보다는 예와 교화에 의한 통치를 더 중시했기 때문이다.
[…… 소학의 방법이란 물 뿌리고 청소하는 일과 사람을 대하는 일을 하고, 집에 들어와서는 효도하고 나가서는 공손하여, 행동을 도리에 어긋남이 없게 함이다.
이렇게 하고 남은 힘이 있으면 시를 외우고 책도 읽으며, 노래하고 춤을 추더라도 생각이 분에 넘침이 없게 해야 한다. 이치를 탐구하고 몸을 갈고 닦는 것이 이 학문의 큰 목적이다. ……]
. 비록 10폭의 짧은 글이지만 여기에는 퇴계가 평생을 바쳐 공부하고 연구한 성리학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실천 방안이 녹아들어 있다. 열 개의 그림은 서로 다르다 해도 전체적으로 하나의 주제를 담고 있어 성리학의 원리와 수행 방법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 준다.
이황은 이언적의 주리론을 발전시켜 주리 철학을 대성하였다. 그는 우주 만물의 보편적 원리인 형이상이 ‘이(理)’이며 모든 사물의 현상인 형이하가 ‘기(氣)’인데, 기는 이의 발현이며 이를 떠나서는 아무 것도 없다고 하였다. 또 모든 사물은 각기 그렇게 되는 까닭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당연한 원리인 이가 사물 이전에 있고, 이가 움직일 때 기가 거기에 올라타서 따라 다닌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황의 성리학 사상은 주자의 이론을 계승하면서도 조선의 현실을 반영하여 나름대로의 체계를 세운 것이다.